. |
| ||
해 설 | |||
[개관정리] ◆ 성격 : 상징적, 의지적, 남성적, 관념적, 독백적 ◆ 표현 * 단호하고도 웅변조의 말투 * 내적 독백의 다짐과 강한 의지의 표출 * 인생의 허무함을 극복하고자 극한 상황을 설정함. * 개념에 충실한 나머지 관념적 시어와 어려운 한자어의 사용이 빈번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나의 지식이 독한 회의를 구하지 못하고 → 나의 지식으로도 삶의 본질이나 인생의 의미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지 못하고 * 병든 나무 → 고민하고 시달리며 괴로움을 당하고 있는 현실적 자아의 모습 * 사막 → 극한적인 시련과 고난의 장소이며, 삶의 본질을 탐구할 수 있는 장소(역설적 공간) 인간의 기성 관념의 때가 묻지 않은 원시 상태 그대로의 장소. 혹독한 고행과 수련의 공간. 극한적인 상황 설정을 통해 치열한 생명 탐구의 대결의지를 드러냄. * 백일 → '근원적인 생명력'과 '일체의 멸망'이라는 상반된 이미지를 지님. * 영겁의 허적 → 영원히 허무하고 적막함만이 있는 곳. * 일체가 모래속에 사멸한 영겁의 허적에 → 절대적인 고독의 상태로서의 사막의 이미지 * 알라의 신 → 절대적 존재로서의 신이 아니라, 실존에 대해 고민하고 방황하는 인격적 존재로서의 신 * 열사의 끝 → 시련과 고난의 극한 상태 * 열렬한 고독 → 시적자아의 실존만이 유일하고도 극명한 상태 일체의 생명이 사멸되어 죽음과 고뇌뿐인 곳 * 옷자락을 나부끼고 → 본연의 생명을 향한 강한 열망을 의미함. * 하여 → 어조가 전환되는 부분 * '나' → 원시의 본연한 자태 = 나의 생명 = 순수한 인간 본연의 자아 허위와 위선에 물들지 않은 있는 원시 그대로의 순수한 생명의 상태 현실적 자아가 추구하는 대상(근원적 생명과 순수성으로서의 자아) * 회한없는 백골을 쪼이리라 → 뉘우침과 후회없이 죽음을 택하리라 생명 탐구에 대한 결의 고조(의지적 대결 정신) * 백골 → 본원적인 생명을 갈구하는 시적자아의 비장한 결의가 함축된 시어
◆ 주제 ⇒ 삶의 본질을 추구하려는 강한 생명의지 원시의 본연한 자아 추구 의지 | |||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생명에 대한 회의와 탐구 의지(도입) - 극한 상황의 설정 ◆ 2연 : 생명 본질 탐구를 위한 고민과 방황(전개) - 극한 상황의 제시 ◆ 3연 : 본연의 자아 추구를 위한 대결 의지 및 획득(정리) |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고민, 좌절, 절망의 끝에서 허무 의식을 떨치고 일어서려는 강인한 의지를 노래한 시이다. 시인은 삶의 가치에 대한 회의와 번민으로부터 스스로를 구제하기 위한 대결의 공간으로 사막을 설정하고, 참된 자아를 찾기 위한 고통(고독)을 단호히 선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된 '나'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차라리 죽음의 세계를 택하겠노라고 하는 비장한 의지가 담겨 있다. 이 시의 이미지가 주는 구도는 수직 수평의 구도이다. 황막한 사막의, 끝간데 없는 지평선에서 불어오는 강풍을 홀로 맞고 서 있는 존재는 의지의 표상이며, 단독자로서 세계와 대결하고 있는 치열성을 보여 준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1연의 '병든 나무'는 수직성의 강건한 의지를 지니지 못한 나약과 허무의 표상이다. 그러므로, 이 시는 병든 나무에서 꼿꼿한 구도자로 서려는 생명의 의지를 표명한 것이 된다.
이 시를 통해 청마 유치환의 생각의 몇 가지를 엿볼 수 있을 것 같다. 첫째, 문명과 원시에 대한 양분법적인 사고를 볼 수 있다. '문명'은 병든 삶이고, '원시'를 삶의 건강성을 가진 세계로서 모든 사물들이 물성 그대로 살아가는 생명의 본연한 자태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그가 추구하는 세계는 어떤 도달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방향만이 존재하는 무한 의지의 허무의 의지가 엿보인다. 이 때 그는 세계에 당당히 맞서는 단독자로서의 강인한 의지를 보여준다. 셋째, 그가 추구하는 자아의 참모습은 원시의 본연한 자태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끝으로, 그는 자신이 추구하는 세계에 대한 무한 가치를 부여하여 그것의 획득을 위해서는 목숨을 건 결연한 의지를 서슴없이 보여주고 있다.
◆ <생명의 서>에 나타난 대결의식 3연으로 되어 있는 이 시는 '떠남 - 고행 - 성취, 대결'의 발전적 구성을 취하고 있다. 시인은 이 시에서 삶의 가치에 대한 회의와 번민으로부터 스스로를 구제하기 위한 대결의 공간으로 사막을 설정하였다. 1연에서는 지식과 감정의 파탄 상태에서 본연의 생명을 찾아 나서고, 2연에서는 극한적 상황에서 고행과 수련의 고통을 겪으며, 3연에서는 본연의 생명을 발견하고 그것과 대결한다. 그는 본연의 생명을 배우지 못하면 차라리 '회한 없는 백골'이 되겠다고 하며 처절한 대결 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 <생명의 서>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자아 탐색 시인은 삶의 가치에 대한 회의와 번민으로부터 스스로를 구제하기 위한 대결의 공간으로 사막을 설정하고, 참된 자아를 찾기 위한 '열렬한 고독'의 길을 가고자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된 '나'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차라리 죽음의 세계에서 자신을 바치겠다는 비장한 의지가 담겨 있다. 여기서의 참된 '나'란 세속에 물든 '현실적 존재로서의 자아'를 넘어서서 성취하고자 하는 '근원적 생명과 순수성으로서의 자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詩 隨筆 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그 길 / 시인 박광호 (0) | 2013.04.28 |
---|---|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 / 시인 류시화 (0) | 2013.04.28 |
산에 언덕에 / 시인 신동엽 (0) | 2013.04.25 |
겨울 바닷가에서 / 시인 석랑 조윤현 (0) | 2013.04.20 |
봄이오는 밤 / 시인 松岩 김은재 (0) | 201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