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울 / 시인 이상
거울 속에는 소리가 없소 거울 속에도 내게 귀가있소.
거울속의 나는 왼손잡이요. 악수를 모르는 왼손 잡이요.
거울 때문에 거울속의 나를 거울이 아니었던들 내가 어찌 거울속의 나를
나는 지금 거울을 안 가졌소마는 거울속에는
잘은 모르지만 외로된 사업에 골몰할게요. 거울속의 나는 참 나와는 반대요마는 진찰할수 없으니 퍽 섭섭하오.
= <카톨릭청년> (1933) =
|
[개관 정리]
* 자동기술법(마치 정신병자가 무의식적으로 지껄이는 상태를
자기 자신에게 응용, 가능한 한 빠른 속도로 지껄이는 독백이나
입에 오른 사고를 비판이나 수정없이 그대로 기술하는 방법)
(기존의 문법 질서를 파괴하려는 반이성주의의 소산으로
극단적인 다다이즘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음)
자이 사이의 대립과 분열에 상응하는 구조
* 냉소적이고 자조적 어조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단절된 세계)
(자아 분열의 시작, 의사소통의 불가능)
(화해의 불가능, 단절의 심화)
거울을 통해 자아를 인식함.
(자아의 분열을 객관적으로 인식함)
외로된 사업(현실적 자아와의 대립 및 불화를 가져올 만한 일)
에 골몰하는 거울 속의 나.
(내면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가 대립하고 있는
구체적 모습으로, 자아분열의 극한을 보여줌)
* 6연 → 거울 안팎의 나가 지니는 유사성과 상반된 모습 제시
거울 속의 나를 근심하고 진찰할 수 없어 섭섭해 함
(현실적 자아의 고뇌와 갈등)
거울 → 자의식 분열의 매개체. 자아 투영과 자아성찰 및
현실 인식의 매개체. 이 시의 모티브.
이 시에서 거울의 이미지는 대칭 구조를 보이고 있다.
거울 속의 '나'와 거울 밖의 '나'가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인 의미와 그 둘을 단절시키는 부정적인 의미를
다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상 대칭을 보여준다.
또한 1연과 6연에서 거울로 인한 단절을 보여 줌으로써
'거울'의 의미가 구조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詩 隨筆 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바다 / 시인 소산 문재학 (0) | 2012.07.26 |
---|---|
하늘 속 바다 / 시인 청계 정헌영 (0) | 2012.07.25 |
강강술래 / 시인 이동주 (0) | 2012.07.24 |
갈대 / 시인 신경림 (0) | 2012.07.24 |
우리 사랑이 아름답도록 / 시인 이효녕 (0) | 201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