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향 / 원로시인 정지용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산꿩이 알을 품고 마음은 제고향 지니지 않고
오늘도 메끝에 홀로 오르니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
= <정지용시집> (1934) =
|
해 설 | |||
[개관정리] ◆ 성격 : 회고적, 애상적, 감각적(시각적, 청각적) ◆ 표현 : 1연과 6연의 수미상관적 구조 대구와 반복으로 리듬감 조성 자연과 인간사의 대비 애절함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하는 탄식적 어조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 반복을 통해 고향을 그리는 간절함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 1연의 이유 → 마음으로부터의 고향 상실감. * 2연 → 변함없는 고향의 이미지, 고향의 자연 * 산꿩, 뻐꾸기 →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환기하는 소재 *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 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 고향에 돌아와서도 마음으로 그리워하던 고향을 찾을 수 없어서 안주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화자의 내면 심리를 표현하고 있다. 화자의 방황하는 내면의식을 은유적으로('구름') 표현한 구절임. * 머언 항구 → 낯선 타향 * 흰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 2연과 대응되며, 고향의 자연은 변함없이 아름다움을 뽐내며 화자를 반갑게 맞아주고 있음을 의인화하여 표현함. * 메마른 입술에 쓰디 쓰다 → 예전처럼 정겨운 추억이 떠오르거나 포근함이 느껴지는 게 아니라, 마음의 고향을 찾지 못해 씁쓸한 기분만 더해지는 고향 상실의 비애와 무상감을 미각적으로 표현함. *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 변함없는 자연의 모습은 변화무쌍한 인간사와 대조되어, 화자의 고향 상실감을 강조하는 효과
◆ 주제 : 그리운 고향을 잃어 버린 자의 상실감과 비애 | |||
[시상의 전개(짜임)] ◆ 1연 : 고향에 돌아와 느끼는 고향 상실감 ◆ 2연 : 변함없는 그리운 고향의 모습 ◆ 3연 : 낯설게 느껴지는 고향의 모습 ◆ 4연 : 변함없이 아름다운 고향의 모습 ◆ 5연 : 어린 시절의 고향을 상실한 비애와 무상감 ◆ 6연 : 고향 상실의 허망함. |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전체가 6연으로 짜여져 있는 이 시는 1연과 6연이 2연에서 5연까지를 품고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내용은 고향을 떠나 있던 사람이 세월이 흐른 뒤에 어릴 때의 추억이 깃들어 있는 고향에 돌아왔지만 이미 그 자신의 추억 속에 잠겨있는 그 '고향'은 현실 속에서 찾아볼 수 없어서 서정적인 비애감에 사로잡혀 있다. 어쩌면 고향 자체는 변하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다만 고향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시적 화자의 영혼과 정서가 그것을 예전 그대로 수용하지 못할 뿐인지도. 성장과정에서 더 큰 세계에 대한 경험과 역사의 뼈아픈 상처 등이 어린 시절 고향에 대해 가졌던 포근함과 정겨움을 앗아 갔을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자연은 불변적 · 영속적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람의 마음은 유동적이며 단절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판단이 가능한 것이다. 흔히 인생무상의 정서를 제시할 때 쓰는 수법이 무한한 자연과 유한한 인간사를 대조시키는 것인데, 이 시에서도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고향 상실의 허무감을 강조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시대상황과 연관지어 볼 때, 일제 강점하에서 많은 지식인들이 느꼈던 '고향 상실 의식'과 관련지어 볼 수도 있다. 일제가 짓밟아 버린 조국에서는 모든 것이 낯설게만 느껴지고 시적 화자는 그저 나그네로만 여겨지는 뿌리깊은 비관적 현실인식과 상실의식이 짙게 드러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詩 隨筆 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향 앞에서 / 원로시인 오장환 (0) | 2012.09.11 |
---|---|
오늘도 당신께 감사합니다 / 시인 김순례 (0) | 2012.09.11 |
동해 물결 / 시인 海島 이우창 (0) | 2012.09.10 |
오래된 보물 / 시인 미산 윤의섭 (0) | 2012.09.08 |
명상(瞑想)하는 아침 / 시인 인곡 임월묵 (0) | 201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