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은 강 / 시인 박인환
신(神)이란 이름으로서
어느 날 역전에서 들려오는
지금 바람처럼 교차하는 지대
달은 정막(靜寞)보다도 더욱 처량하다.
신이란 이름으로서
= 시집 <박인환 시선집>(1955) =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직설적, 상징적, 대조적, 비극적
◆ 표현 : 평서형 종결어미의 사용으로 형태상의 통일성을 꾀함.
대조적 상황 설정을 통한 긴장감 제시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신(神)
→ 화자로 하여금 최후의 노정을 찾아보게 해주는 존재.
구원을 향한 모색에 힘을 실어주는 존재.
* 우리 → 신에게 최후의 운명을 맡기고 최후의
도피길(피난길)에 오른 시적 화자
* 죽으러 가는 자 → 전쟁터로 나가는 군인
* 정욕처럼 피폐한 소설에 눈을 흘겼다
→ 이러한 현실에서 문학을 한다는 행위 자체가 얼마나
불순한 욕망인지를 자조적으로 드러낸 표현
* 바람처럼 교차하는 지대
→ 죽으러 가는 자와 살러 가는 자가 서로 방향을
달리하면서 스쳐 지나가는 곳
* 농부의 아들 → 죽으러 가는 자
* 검은 강
→ 죽으러 가는 자와 살러 가는 자, 그 사이에
가로 놓인 메워질 수 없는 거리
전쟁으로 인한 비극적 현실과 피난길에 오른 사람들과 떠나는 군인들의
모습을 모두 포괄한 화자의 정서를 상징화한 시어
◆ 주제 : 전쟁의 비극성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신에게 모든 운명을 맡기고 최후의 노정길에 오른 화자
◆ 2연 : 전선으로 떠나는 군인들의 모습
◆ 3 ~ 4연 : 화자의 서정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6 · 25를 배경으로, 야간열차를 타고 피난길에 오른
'우리'와 '죽으러 가는 군인'들의 대조적 묘사를 통해
전쟁의 비극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생사의 경지로 떠나는' 군인과 '피폐한 소설'에 시선을 둔
화자의 대조적 모습을 통해 전쟁의 비극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詩 隨筆 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 / 시인 청암 방효필 (0) | 2012.08.18 |
---|---|
겨울 바다 / 시인 김남조 (0) | 2012.08.16 |
개화(開花) / 시인 이호우 (0) | 2012.08.16 |
붉은 노을빛 / 시인 松路 김순례 (0) | 2012.08.16 |
봄길을 가자 / 시인 海島 이우창 (0) | 201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