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隨筆 等

나그네 / 시인 박목월

雲山(뭉개구름을 머리에 이고있는 산) 2017. 3. 16. 19:25





 나그네 /  시인 박목월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 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 <상아탑>(1946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민요적, 향토적, 토속적, 관조적, 풍류적, 낭만적

◆ 표현 : 자연과 인간의 완벽한 조화(자연에 동화된 인간의 모습)

              체언 종결의 간결한 형식미 → 생략과 여운의 효과, 이미지의 유동성을 막고 감동의 집중감을 줌.

              수미 상관의 구조 → 주제연의 반복 강조.

               7,5조의 친근한 민요적 율격과 2행 2구의 형식(3연에서는 5 · 7조로 변용됨).  

◆ 심상 : 시각적, 후각적 심상

           밀밭 길 ========== 술 익는 마을 ============= 타는 저녁 놀

       (시각, 푸름)                     (후각)                              (시각, 붉음)

 

◆ 시어의 의미

   * 나그네 ― 일제 치하에서 억압받는 우리 민족의 표상.  시대현실과 관련된 비극적 인간상

   * 구름에 달 가듯이 ― 행운유수(行雲流水), 유유자적(悠悠自適)의 이미지

   * 길은 외줄기 ― 나그네의 고독 연상

   * 남도 삼백 리 ― 추상적 정감의 거리, 나그네가 가야할 길의 아득함

   * 술 익는 마을 ― 생활의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던 당시의 사정을 고려해 볼 때, 

현실과는 다소 동떨어진 표현으로, 비판의 여지가 있음.

 

◆ 주제 ⇒ 자연에 동화된 나그네의  삶의 달관

◆ 창작배경 : 조지훈이 박목월에게 보낸 시 <완화삼>에 대한 화답시

                    (부제 : 술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여 - 지훈에게)


[시상의 전개(짜임)]

◆ 1연 : 향토적 배경

◆ 2연 : 나그네의 모습(체념과 달관의 경지, 유유자적의 이미지)

◆ 3연 : 향토적 배경(외로움의 정서)

◆ 4연 : 향토적 배경(풍류와 낭만의 정서)

◆ 5연 : 나그네의 모습(체념과 달관의 경지, 주제연)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강나루를 건너가면 밀밭 사이로 외줄기 길이 끝없이 펼쳐져 있는 고적한 풍경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강의 푸른색과 밀밭의 푸른 색조가 어울려 짙은 색감을 드러내며 작품의 배경이 되고 있다. 

그리고 외줄기 길에서 느껴지는 나그네의 고독은 삼백 리로 더욱 깊어진다. 


여기서 '삼백 리'는 실제적 거리라기보다는 화자가 느끼는 고독한 정감을 나타내는 추상적 거리를 의미하며,

 삼(三)이란 수(數) 역시 한국적 정감을 나타내는 친숙한 숫자로 향토적 분위기 형성에 이바지하고 있다.


 외줄기로 길게 뻗어 있는 쓸쓸한 황토길을 밟으며 술 익는 어느 마을을 지날 때,

 마침 서산 하늘 가득히 타고 있는 저녁 노을이 고독한 나그네의 가슴을 온통 서럽게 불태우고 있다. 

이렇게 노래되고 있는 자연 풍경은 분명 한국인의 의식 속에 

시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정감 어린 정경이다.  


'구름에 달 가듯이'라는 시구는 두 번 반복되는데, 아무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유유자적하게 길을 가는

 나그네의 행로가 이 구절에서 반짝 빛을 발한다. 

구름에 달이 지나갈 때 아무것도 이를 막을 수 없듯, 나그네의 행로를 붙잡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나그네의 행운유수(行雲流水)와도 같은 유유자적함이 구름을 따라 흘러가는 달의 움직임에 비유되어 있는 것이다.


 나그네의 처지는 세속적인 집착과 속박에서 벗어난 동양적 해탈의 경지를 표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나라 잃은 백성의 체념과 달관을 뜻하는 동시에, 현실에서 밀려난 시인 자신의 표상이 될 수도 있다.

현실과 동떨어진, 현실을 외면한 작품이라는 비난의 한편에서, 여전히 작품을 옹호하고자 하는

 마음이 드는 것은 나그네의 모습 때문이다. 


 현실에 얽매이거나 집착하지 않고 그것을 체념하고 달관해야만 견뎌낼 수 있는 당시의 상황을 떠올려본다.

 현실을 나몰라라 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한 한 방편의 모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길"과 "나그네"의 연속적인 묘사로 이루어진 것 이 시의 묘미이다.

 

['나그네'에 대한 시인의 말]: 박목월의 "보랏빛 소묘"에서

나그네의 주제적인 것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였다.  

그야말로 혈혈단신 떠도는 나그네를 나는 억압된 조국의 하늘 아래서, 

우리 민족의 총체적인 얼의 상징으로 느꼈으리라.  

나그네의 깊은 고독과 애수, 혹은 나그네의 애달픈 향수 ………(중략)…… 다만 생의 가냘픈 꿈과, 

그 꿈조차 오히려 체념한 바람같이 떠도는절망과 체념의 모습으로서의 

나그네가 내게는 너무 애닯은 꿈(영상)이었다.

 

 [ 참고 ] : 조지훈의 <완화삼(玩花衫)>

            차운산 바위 위에 하늘은 멀어 / 산새가 구슬피 울음 운다. //

            구름 흘러가는 / 물길은 칠백 리(七百里) //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 노을이여. //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 꽃은 지리라. //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 /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